난임클리닉(인공수정 및 시험관 아기)
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인턴, 산부인과 전공의 수료 미국 펜실베니아대학 산부인과 불임센터 연구강사 아주대학교 의대 산부인과학 불임 및 습관성유산클리닉 부교수 과학기술부 생명윤리자문위원회 위원 및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배아연구전문위원회 위원장 역임 난소 저반응 환자에서 배란유도제의 난소 직접투여 배란유도에 의한 시험관아기시술 방법 개발 (세계 최초)
진료 예약
난임 클리닉 (인공수정 및 시험관 아기)
서울대학교병원 인턴, 산부인과 전공의 수료 58th 일본 산부인과 학회 Young Doctors 선정 서울대학교병원 해외 우수 논문 전공의상 대한 보조생식학회 정회원
임신 관리 및 분만 난임 클리닉 (인공수정 및 시험관 아기)
서울대학교병원 인턴, 산부인과 전공의 수료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전임의 (불임 및 생식내분비학)
임신 관리 및 분만 부인과 질환 및 부인암 조기 검진 미혼 여성 관리
서울대학교병원 인턴, 산부인과 전공의 수료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전임의 부인종양학) 서울대학교 대학원
고위험 산모 임신관리 (쌍태아, 임신 중독증, 임신성당뇨, 조산예방) 태아 기형 초음파 외국인 산모 및 환자 진료
서울대학교병원 인턴 수료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전공의 수료 우수 전공의 미국 연수 <Hutzel Women's Hospital> <NIH Perinatology Research Branch>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모체태아의학 전임의 서울대학교 의학대학원 모체태아의학 석사학위
부인과 종양 및 복강경 수술 난임 클리닉 (인공수정 및 시험관 아기) 임신관리 및 분만
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전공의 수료 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전임의(부인종양학) 원자력병원 산부인과 전임의(부인종양학)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산부인과 임상조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부인과학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산부인과학 박사과정중
부인과 종양 및 복강경, 자궁경 수술 부인과 질환 및 부인암 검진 폐경 및 갱년기 관리 임신관리 및 분만
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전공의 수료 서울대학교 의학대학원 산부인과학 박사 강남미즈메디병원 진료부장
난임클리닉(인공수정 및 시험관아기) 임신관리 및 분만
가톨릭중앙의료원 인턴 수료 가톨릭중앙의료원 산부인과 전공의 수료 제일병원 난임생식내분비과 전임의 임산부 약물상담 전문가과정 수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교실 외래교수
쌍태 임신 클리닉 자궁경부 무력증 고위험산모 임신관리 및 분만 태아 정밀 초음파 염색체 검사(융모막검사, 양수검사, 제대혈검사)
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전공의 수료 서울대학교 의학대학원 산부인과학 의학박사 서울대학교병원,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임상강사 미국, UC Irvine 산부인과 Visiting Professor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 교수 (2003 ~ 2019) 대한주산의학회, 대한모체태아의학회 사무총장 역임 (현)대한산부인과학회지 (Obstet & Gynecol Sci) 책임편집인 (현)대한주산의학회지 (Perinatology) 대표편집인
1. Chromosomal Abnormality, fetal/neonatal Death and Socioeconomic Status: A Prospective Cohort Study. Matern Child Health J. 2022 Nov 9;. doi: 10.1007/s10995-022-03542-y.(태아염색체이상과 사회경제적지위의 관련성에 대한 다기관연구) 2.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Prenatal Aneuploidy Screening and Diagnostic Testing from Korean Society of Maternal-Fetal Medicine: (1) Prenatal Aneuploidy Screening. J Korean Med Sci. 2021 Jan 25;36(4):e27. (태아염색체이상 선별검사에 관한 국내 최초 산과 진료지침) 3.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Prenatal Aneuploidy Screening and Diagnostic Testing from Korean Society of Maternal-Fetal Medicine: (2) Invasive Diagnostic Testing for Fetal Chromosomal Abnormalities. J Korean Med Sci. 2021 Jan 25;36(4):e26. (태아염색체이상 진단검사에 관한 국내 최초 산과 진료지침 ) 4.Validation of a Strict Obesity Definition Proposed for Asians to Predict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 Korean Pregnant Women. J Korean Med Sci. 2021 Nov 15;36(44):e281. doi: 10.3346/jkms.2021.36.e281. (비만과 임신경과의 관련성에 대한 다기관연구) 5.Vaginal compared with intramuscular progestogen for preventing preterm birth in high-risk pregnant women (VICTORIA study): a multicentre, open-label randomised trial and meta-analysis. BJOG. 2020 Dec;127(13):1646-1654. (조산 예방에 관한 프로제스테론 국내최초 다기관연구 ) 6.Randomized, Double-Blind, Placebo-Controlled Trial on the Efficacy of Hyaluronidase in Preventing Perineal Trauma in Nulliparous Women. Yonsei Med J. 2020 Jan;61(1):79-84.{회음부열상방지주사에 대한 다기관연구 (비급여치료로 활용)} 7.The risk of preterm birth in vanishing twin: A multicenter prospective cohort study. PLoS One. 2020 May 29;15(5):e0233097. (쌍둥이소실과 조산의 관련성에 대한 다기관연구) 8.How much have the perinatal outcomes of triplet pregnancies improved over the last two decades?. Obstet Gynecol Sci. 2019 Jul;62(4):224-232. (삼태임신 예후에 대한 다기관연구) 9.Short-Term Prediction of Adverse Outcomes Using the sFlt-1 (Soluble fms-Like Tyrosine Kinase 1)/PlGF (Placental Growth Factor) Ratio in Asian Women With Suspected Preeclampsia. Hypertension. 2019 Jul;74(1):164-172. {임신중독증 예측검사에 관한 다기관연구 (급여검사로 활용)} 10.Prospective study of bidet toilet use: Association of abnormal vaginal colonization and preterm birth in high-risk pregnant women. J Obstet Gynaecol Res. 2019 Jun;45(6):1134-1142. (비데사용과 조산의 관련성에 대한 다기관연구) 11.Efficacy and safety of ferric carboxymaltose versus ferrous sulfate for iron deficiency anemia during pregnancy: subgroup analysis of Korean women. BMC Pregnancy Childbirth. 2018 Aug 28;18(1):349. {고농도 철분주사제에 대한 다기관연구 (급여치료제로 활용)} 12.Neurodevelopmental outcomes in children with prenatally diagnosed corpus callosal abnormalities. Brain Dev. 2018 Sep;40(8):634-641. (태아뇌기형의 예후에 대한 연구) 13.Prospective observations study protocol to investigate cost-effectiveness of various prenatal test strategies after the introduction of noninvasive prenatal testing. BMC Pregnancy Childbirth. 2018 Jul 24;18(1):307. (태아염색체이상 선별검사들간의 비용-효과 연구) 14.Previous uterine artery embolization increases the rate of repeat embolization in a subsequent pregnancy. PLoS One. 2017 Sep 26;12(9):e0185467. (빅데이터를 이용한 한국 혈관색전술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) 15.Emerging tocolytics for maintenance therapy of preterm labour: oxytocin antagonists and calcium channel blockers. BJOG. 2006 Dec;113 Suppl 3:113-5. (조기진통억제제들의 비교연구) 16.Multicentre, parallel group, randomised, single-blind study of the safety and efficacy of atosiban versus ritodrine in the treatment of acute preterm labour in Korean women. BJOG. 2006 Nov;113(11):1228-34. {자궁수축억제제와 조산방지에 대한 다기관연구 (급여치료제로 활용)} 17. Angiographic embolization for obstetrical hemorrhage: effectiveness and follow-up outcome of fertility. Acta Obstet Gynecol Scand. 2006;85(7):815-20. (산과출혈에서의 혈관색전술의 효과 및 향후 임신경과에 대한 연구)
고위험 산모 임신관리 및 분만 제왕절개후 자연분만(브이백)
차의과학대학 차병원 산부인과 전공의 수료 곽여성병원 산부인과 진료원장 차의과대학교 산부인과 외래 조교수
난임 클리닉(인공수정 및 시험관아기)
서울대학교병원 인턴, 산부인과 전공의 수료 제일병원 불임센터 설립 시험관아기 시술성공(한국 두번째) 초음파를 이용한 난자채취로 시험관 아기 시술 성공(국내최초) 동결 수정란 이식에 의한 임신성공(동양최초) 미세수정에 의한 시험관아기 시술 성공(국내최초)